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4년 4월 19일 금요일(甲辰년 戊辰월 癸丑일)
등록일 2024.04.23 조회수 31

2024419일 금요일(甲辰戊辰癸丑)

 

癸戊甲

丑辰辰

 

丙乙甲癸壬辛庚己

子亥戌酉申未午巳

 

같은 교실에서 같은 선생님에게 같은 내용의 수업을 받아도 학생들 반응은 가지가지이다. 가장 큰 요인은 팔자 탓이다. 물론 명리학을 공부하지 않는 사람은 웃긴다고 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물을 좋아하는 식물도 있고 싫어하는 식물도 있다. 동물도 마찬가지이고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물을 많이 마시면 좋다는 말은 일반론이다. 명리학은 일반론을 거부하고 개인차를 중시한다. 혈당이 100 이하면 정상이고, 100에서 120이면 당뇨 전 단계이고, 120 이상이면 당뇨병 환자라고 한다. 이런 방식이 개인차를 무시한 일반론이다. 얼마 전 유튜브에서 소금이 좋은지 나쁜지 내과 의사까지 끼어들어 논쟁하는 것을 보았다. 개인차를 무시한 하나마나 한 논쟁이다. 소금이 몸에 좋은 사람이 있고 좋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소금을 먹고 건강이 좋아졌다는 사람 앞에서 소금은 나쁘다고만 하면 되겠는가?

 

학교에서 시키는 공부를 잘하는 사람은 관인(官印)이다. 반면에 식재(食財)는 자기가 하고 싶은 공부를 잘한다. 공부의 종류도 다른 것이다. 억지로 할 수 없이 해야 하는 공부가 있고, 하고 싶어서 즐겁게 하는 공부가 있다. 시키는 대로 잘하는 관인(官印)과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식재(食財)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무조건 좋은 대학 가기 위해 모든 학생을 몰아쳐서는 안 된다.

 

세상 만물에는 등급이 있으므로 관인(官印)의 등급과 식재(食財)에도 등급 차이가 있다. 등급은 지지로 정해진다. 일간의 등급도 월지와 일지에서 72가지 등급으로 나눌 수 있다. 일간의 종류도 열 개이다. 이를 그릇의 종류와 크기라고 한다.

 

관인(官印)은 시키면 시키는 대로 하는 공부를 잘한다. 그렇다고 모두 잘하는 것은 아니다. 천간과 지지 속성을 지켜야 한다. 확산 상승하는 공부도 있고 응축 하강하는 공부도 있다. 또 도시에서 공부해야 할 사람도 있고 시골에서 공부해야 할 사람도 있다. 이를 어기면 모두 꽝이다.

 

무조건 열심히 공부하는 바보가 되어서는 안 된다. 명리학의 기본 천간과 지지의 속성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십신 가지고 기교를 부리는 사람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결과는 제자리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같은 십신이라도 글자에 따라 모두 다른 모습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칼이라고 모두 같은가? 칼의 종류를 생각해 보자. 그리고 어디에 사용해야 하는지 만일 다른 곳에 사용하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지 생각해 보자.

 

癸戊甲

丑辰辰

 

丙乙甲癸壬辛庚己

子亥戌酉申未午巳

 

甲辰 백호, 癸丑 백호, 戊辰 괴강, 辰辰丑辰파 사주가 엉망이라고 말하는 사람 있겠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의 명리 공부가 엉망이다. ㅎㅎ 주변 자동차의 종류를 보자. 다른 모습 다른 용도 자동차를 보고 그 자체가 엉망이라고 하면 되겠는가? 태어난 자기 그릇의 종류와 크기대로 살아가면 무난하다. 무난(無難)이란 어려움이 없다는 뜻이다. 자동차의 종류를 보라. 자동차의 다양한 모습은 세상에 나올 때 정해진다. 소나타로 태어나면 아무리 노력해도 그랜저가 될 수 없다. 트럭으로 태어나면 아무리 노력해도 승용차가 될 수 없다. 사람도 그렇다. 명리학은 한 번뿐인 삶에서 헛된 노력을 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이 팔자는 연간 상관 월간 정관 일간 모두 힘이 있다. 확산 상승하는 속성을 가진 사주이다. 초반 사오미 운에 월간 무토와 일간 계수가 록왕쇠이다. 록왕쇠는 열심히 바쁘게 일하는 시기이다. 일할 때 일하고 쉴 때 쉬면 좋다. 원국을 통제하는 것은 운이다. 신유술 운에는 록왕쇠에 해당하는 글자가 원국에 없다. 이때는 운의 흐름을 따라야 한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寶書)라는 책을 들고 다니면 폼이 난다. 그러나 폼이 나면 실속이 없다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다. 난강망(궁통보감)에 이어서 자평진전(子平眞詮)을 새로운 명리학 기준을 적용하여 해설해 본다.

 

****

 

若用煞而帶財 命中合煞存財 則傷食為宜 財運不忌 透官無慮 身旺亦亨

 

록겁격에 칠살을 쓸 때 재성이 있다면 원국에서 칠살을 합거하고 식상이 남는다면 식상운이 좋고 재운도 꺼리지 않는다. 정관이 투출해도 염려할 바가 없고 신왕운 역시 형통하다.

 

해설) 록겁격에서 칠살을 쓸 때 식상과 재성이 있을 때가 있다. 이때 나쁜 놈 칠살을 합거하고 식상과 재()가 남는다면 식상운이나 재운이 좋다고 한다. 칠살이 합거되면 정관운이 와도 좋고, 신왕운이 와도 좋다고 설명한다. 칠살이 합거되었으니 정관운이 와도 관살혼잡이 안 되고, 식재(食財)가 있으니 일간이 강해지는 신왕운도 좋다고 한다. 신강 신약에 눈금을 맞추고 있으니 그냥 그때는 그런 식으로 사주를 풀었구나 하고 지나가면 되겠다. 일단 원국과 운의 관계를 분명히 정립(定立)할 필요가 있다.

 

若命中合財存煞 而用食制 煞輕則助煞 食輕則助食而已

 

만약 원국에서 재()를 합거하고 칠살을 남겼을 경우에는 식상으로 제살(制殺)해야 하고, 칠살이 미약하면 칠살을 도와야 한다. 또 식상이 미약하면 식상을 돕는 운이 와야 한다.

 

해설) 록겁격에서 칠살을 쓸 때 식상과 재성이 있다면 재()가 합거되고 칠살이 남는다면 식상으로 식극관해야 한다고 하고, 칠살이 미약하면 칠살을 돕는 운이 좋다고 한다. 그러나 칠살이 강한지 약한지 기준이 없으니 막상 팔자 해석에 닥치면 서로 의견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祿劫而用傷食 財運最宜 煞亦不忌 行印非吉 透官不美若命中傷食太重 則財運固利 而印亦不忌矣

 

록겁격에서 식상을 쓰는 경우에는 재운이 가장 길하고 칠살운 역시 꺼리지 않는다. 인수운은 좋지 않고 정관이 투()해도 좋지 않다. 만약 사주 원국에서 식상이 태중(太重)하다면 재운이 당연히 유리하고 인수운 역시 나쁘지 않다.

 

해설) 원국과 운을 구분하지 못하고 설명하는 이런 글을 계속 읽어나가는 것이 시간 낭비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글쓴이의 속마음을 읽어나 보자. 록겁격은 일간이 강하니 식상을 쓰면 재운으로 흐르면 좋다고 하고, 식상을 쓰기 때문에 칠살이 와도 식극관을 하니 좋다고 한다. 이는 모두 원국과 운을 구분하지 못하는 설명이다. 식상을 쓸 때 인수운이 오면 인극식 하니 인수운은 좋지 않다고 하고, 정관운 역시 식상과는 반대이므로 좋지 않다고 한다. 모든 사람은 팔자는 다르지만 계절의 변화에 복종해야 한다. 계절의 변화가 운()이다. 운과 사주팔자 원국과 관계는 주종(主從)관계이다. 대등한 관계가 아니다.

 

祿劫而官煞並出 不論合煞留官 存官制煞 運喜傷食 比肩亦宜 印綬未為良圖 財官亦非福運

글 정보
이전글 2024년 4월 20일 토요일(甲辰년 戊辰월 甲寅일)
다음글 2024년 4월 18일 목요일(甲辰년 戊辰월 壬子일)